|
기술자료 > 코일 |
 |
 |
DC형 릴레이를 동작하는 전원은 전압을 기준으로 한 경우와 전류를 기준으로 한 경우가
있습니다. |
|
전압을 기준으로 한 표준전압은 DC5, 6, 9, 12, 24, 48, 100v
등이지만 전류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는 카다로그등에 감동전류 mA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감동전류는 아마추어가 겨우 움직인다는 최저보증에 지나지 않으므로 인가전압과 저항치의 증가를 참고하고
최악의 상태가 되어도 릴레이가 동작 하도록 보충 하여 감동전류의 1.5~2배가 흐를 필요가 있습니다.
DC형에서는 한계릴레이(전압 또는 전류가 한계치가 되었을 때 릴레이가 ON, OFF 하는 것)적인 사용방법을
취할 수 있고 메타의 대용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것은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가 서서히 증가 또는 감소하므로
접점의 이동이 늦어지며 규정의 제어용량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
DC형에서는 한계릴레이(전압 또는 전류가 한계치가 되었을 때 릴레이가 ON, OFF
하는 것)적인 사용방법을 취할 수 있고 메타의 대용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것은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가
서서히 증가 또는 감소하므로 접점의 이동이 늦어지며 규정의 제어용량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
DC형 릴레이의 코일 저항치는 주위온도의 변화 및 릴레이 자체의 발열에 따라서 약
0.4%/1℃의 변화가 생기고 따라서 온도가 높아지면 동작전압 및 복귀전압이 높아지므로 주의를 필요로 합니다. |
|
|
 |
AC형 릴레이를 동작하는 전원은 거의가 상용주파수(50 또는 60㎐)이고 표준전압으로서는
AC 6, 12, 24, 50, 110, 200, 220V가 있습니다. |
|
표준전압이외의 전압이면 특수품적요소가 되며, 가격, 납기, 성능의 안정성 면에서
부적당하고 될 수 있는 한 표준 전압의 것을선정 할 필요가 있습니다. |
|
AC형은 쉐이팅 코일의 저항손실, 자기회로의 과전류 손실, 히스테리 손실등이 있고
코일의 입력도 커지므로 일방적으로 온도상승이 DC형보다 높은 것이 보통입니다. 게다가 최소동작 전압 이하에서는
파동이 생기게 되므로 전원 전압의 변동에 주의를 요합니다. 예를 들면 모터가 가동할 때에 전원 전압이 드롭하면
릴레이는 파동하면서 복귀하고 접점이 융착, 혹은 자기유지가 틀어지는 일이 생깁니다. |
|
AC형에서는 동작시 돌입전류(아마추어가 떨어진 상태에서는 임피던스가 낮아 정격전류보다
많이 흐르고 아마추어가 흡착된 상태에서는 임피던스가 높아지고 정격전류가 흐르는 현상)가 있으므로 많은 릴레이가
병렬 접속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소비전력과 함께 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